중화권-체코 관계

덤프버전 :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체코 관계 관련 틀 파일:체코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png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가야-후한 관계백제-수나라 관계나당관계여요관계고려-금나라 관계
조명관계중소관계
송나라 · 청나라












1. 개요
2. 중국과의 관계
3. 대만과의 관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 대만체코의 외교에 대한 문서이다.

2. 중국과의 관계[편집]


중국체코슬로바키아공산주의 블록에 속한 나라로 냉전 시기부터 외교관계를 맺었고 대체로 우호적이다. 중국인 관광객들도 체코로 자주 오고 있다. 밀로시 제만 대통령은 친러성향외에도 친중성향이 있어서 중국의 전승절에도 참가했을 정도이다. 그리고 경제적으로도 교류가 많은 편이다.

밀로시 제만 대통령은 체코 상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한 것에 대해 "중국에 대한 유치한 도발"이라고 밝혔다.# 여기까지 봐도 알겠지만 현재 체코의 대통령 소속 정당인 SPO는 친중, 친러 성향이고, 체코 집권당이자 하원 다수당인 ANO 2011 역시 친러, 친중 정당이다. 그러나, 체코 상원 다수당인 ODS와 CSSD는 반중, 친서방대만 성향이다. 대통령은 SPO 소속이고 상원의장과 외교장관은 각각 ODS, CSSD 소속이다. 이 때문에 정부 부처 내에서도 소속 정당에 따른 친중 vs 반중 알력이 굉장히 큰 편이다.

체코가 중국과 거리를 두고 급속도록 대만과 가까워지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핑계로 중국이 체코 여행 자제령을 내렸다.#

2021년 11월 19일, 체코 프라하의 메리어트 호텔이 세계 위구르 회의가 주최하려던 컨퍼런스 회의를 취소하자 논란이 일어났다.#

2023년 1월 30일,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 당선인이 차이잉원 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사실이 알려지자 중국 측이 반발했다.#

3. 대만과의 관계[편집]


대만과는 외교관계가 없지만, 양국간에 대표부를 두고 있다.

체코, 정확하게는 체코 상원의 다수당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대만과의 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0년 8월에 체코의 상원의장을 비롯한 정치인 등 대규모 방문단이 유시쿤 입법원장의 초청으로 대만을 방문했다.# 이에 대만 방문에 대해 왕이 외무부장은 무거운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고,# 왕이의 발언에 대해 토마스 페트리첵 체코 외교장관은 선을 넘었다고 불쾌감을 표했다.#

9월 1일에 대만을 방문중인 체코 상원의장이 존 F. 케네디의 연설 "Ich bin ein Berliner"(나는 독일 사람)을 벤치마킹하여 자신은 대만인(我是臺灣人)이라고 밝히며 중국에 맞서 대만의 민주주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9월 3일에는 차이잉원 총통과 회담을 했다.## 비르트르칠 상원의장은 귀국 후 '대만을 독립국이라고 말하지는 않았다'며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프라하의 시장은 체코 해적당 소속인데 강경한 반중 인사로 재임하자마자 중국과의 자매결연을 끊고 대만과의 관계를 강화하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이 일로 체코 주재 중국대사관은 프라하 시정부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2023년 1월 30일,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 당선인이 차이잉원 총통과 전화통화를 했다.#

우크라이나의 사회기반시설 재건사업을 돕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체코/외교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체코/외교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대만/외교 문서의 r14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8:51:37에 나무위키 중화권-체코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